imsooo

[우리FIS 아카데미(우리FISA) 4기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과정] 9주 차 회고 본문

IT/우리 FISA

[우리FIS 아카데미(우리FISA) 4기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과정] 9주 차 회고

imsooo 2025. 3. 9. 23:17

 

안녕하세요

이번 주는 VMware 내용으로 가득합니다😊

 

🚝 9주 차 회고 시작~

 

 


 

 

 씬 프로비저닝(Thin-provisioning) 

- 사용하는 만큼 공간이 할당되는 프로비저닝

 

 씩 프로비저닝(Thick-provisioning) 

- 미리 정해진 크기만큼의 스토리지 공간을 미리 할당하는 방식

- Eager Zeroed:  디스크를 생성할 때 할당된 디스크의 크기 전체를 0으로 채워 초기화
- Lazy Zeroed: 데이터가 실제로 기록될 때 해당 블록을 0으로 채워 초기화

 

 

 FTP 서버 

File Transfer Protocol로 클라이언트가 서버로 파일을 업로드하고 다운받을 수 있는 소프트웨어

 

 

 FTP 서버 실습 

1. FTP 오픈소스 소프트웨어인 FileZilla server를 ESXi의 윈도우에 다운로드

 

2. host의 윈도우에 FileZilla client 다운

3. server에 파일을 올려놓을 경로 만들고, server 사용자 만들기

3-1. 파일 올릴 폴더(ftp-home) 생성

 

3-2. 사용자 생성(Server → Configure → Rights management → user)

 

3-3. Add 하여 사용자 추가하고 인증(비밀번호)과 위에서 만든 저장 폴더 path 지정해주고 OK

 

4. ESXi 윈도우에서 방화벽 설정

4-1. 제어판 → 시스템 및 보안 → Windows 방화벽에서 앱 허용

 

4-2. filezilla-server 선택

 

4-3. filezilla Windows 방화벽 허용

 

5. Host 윈도우에서 fileziller Client에 접속하여 서버 ip, 사용자 명, 비밀번호, 포트(21) 입력 후 빠른 연결

연결 완료!

 


 

 

 Datastore 

- VMware vSphere가 사용하는 저장소 컨테이너

 

 Shared Datastore 

- 여러 ESXi 호스트가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스토어

 

NFS

- Network File System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토리를 공유할 수 있는 파일 공유 시스템

- Windows에서 NFS를 기본 지원

 

Windows server에서 NFS 실습

1. 역할 및 기능 추가 접속

 

2. 설치 유형 선택 :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

 

3. 파일 및 저장소 서비스 - 파일 및 iSCSI 서비스 - NFS용 서버 추가

 

4. vCenter에서 새 데이터스토어 생성

 

4-1. 폴더: 윈도우 서버에 생성한 NFS 공유 폴더 위치

서버: NFS 서버 생성한 윈도우 서버 IP

생성 확인!

 

이렇게 NSF 데이터스토어를 만들면 여러 ESXi 호스트가 동일한 스토리지를 공유할 수 있게 됨

우리 팀은 iso 파일 등 실습에 필요한 파일을 올려두어서 활용했습니다ㅎㅎ

 


 

 

iSCSI

- 네트워크를 통해 기존의 스토리지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

- 블록 레벨 스토리지 제공

- Initiator: 클라이언트 역할에 해당되며, Target에 연결하여 스토리지 자원에 액세스 하는 쪽

- Target: 스토리지 자원을 제공하여 Initiator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엑세스를 받는 쪽

 

 

 

Clone(복제)

- 기존 VM의 복사본을 생성하는 기능

- Clone된 VM은 원본 VM과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원본 VM 계속 사용 가능

 

Template(템플릿)

- 여러 개의 새로운 VM을 일관된 설정으로 배포할 때 사용

- 기존 VM을 템플릿으로 변환하기 때문에 기존 VM은 사용 불가능

 

 

VM 파일 확장자

- .vmdk: VM의 가상 디스크를 나타내는 주요 파일

- .vmxf: XML 형식으로 저장된 추가 구성 파일

- .vmsd: 스냅샷 메타데이터 파일

- .nvram: VM의 BIOS 또는 EFI 설정을 저장하는 파일

- .vmtx: 템플릿으로 변환된 VM의 구성 파일

- .log: VM의 활동 기록을 저장하는 로그 파일

 


 

네트워크는 이론을 들을 땐 너무 어렵지만

실습할 때는 시간가는 줄도 모르는 너무 재밌는 수업인 것 같다😊

 

그럼 이만 다음주에 봐여🖐️🖐️